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를 충청권과 영ㆍ호남에 분산배치하는 방안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다.
여론은 ‘삼각 테크노벨트’를 언급했던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입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가 지난 4일 대구에서 열린 ‘대구연구개발특구 출범식’에서 “오래전부터 대구-대전-광주를 잇는 삼각 테크노벨트를 구축해 각각을 교육과학기술특구로 지정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해 왔다”고 말했다.
공교롭게도 ‘삼각’이라는 교집합이 생겼고 박 전 대표가 과학벨트 분산배치를 선호하는 게 아니냐는 궁금증이 제기됐던 것이다.
그러나 그는 8일 본회의 참석에 앞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과학벨트와 테크노벨트는) 다른 개념”이라고 명확하게 선을 그었다.
그의 대변인 격인 이정현 의원은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과학벨트는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원이 중심이 된 기초과학 육성사업이고 테크노벨트는 응용ㆍ첨단과학에 관련된 것”이라고 연관성을 차단했다.
이 의원은 “박 전 대표는 지난 2004년부터 낙후지역 개발과 국토균형발전, 첨단산업 육성을 위해 테크노벨트를 얘기해왔다”며 “이는 광주, 대전, 대구에 과학기술원이 생기거나 연구ㆍ개발(R&D)특구가 구성되는 형태로 이미 실행이 되고 있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친박(친박근혜)계가 대다수인 한나라당 대구.경북 의원들 사이에서는 ‘과학벨트쪼개기’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았다.
서상기 의원은 당 의원총회에서 “기초과학 육성을 위한 과학벨트를 쪼개면 국제적 인프라 구축이 어려워지므로 원래의 취지와 모델대로 해야 한다”면서 “다만 R&D 삼각벨트(대전-대구-광주) 중 나머지 두 곳에 대해서는 미래 성장동력 구축을 위해 나노, 바이오, 융합과학 등에 대해 각각 3조5000억원 씩 5년-7년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김무성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3조5000억원의 예산 가운데 중이온가속기 등이 2조3000억원인데 이는 세종시건 어디건 본류에 가고, 나머지 1조2000억원은 (부가적인) 연구자금이니 기존의 R&D(시설)에 주면 될 것”이라며 “그렇다면 현재기초과학연구단지가 있는 곳으로 가야하는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헤럴드 생생뉴스/onlinenews@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