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태풍은 5일전, 장마는 일주일전, 국지성호우는 3시간전
기상현상에 따라 예측가능시간 다르다.
“비는 주간예보하면서 태풍과 국지성호우는 왜 주간예보 안해주나요?” “올해 9호 태풍 ‘무이파’가 갑자기 진로 바꿀지 몰랐나요? 비도 150㎜이상 온다더니 400㎜가 넘게 오고…”

기상청은 시민들의 이런 항의를 들을 때마다 곤혹스럽다. 일반인들은 비, 태풍, 천둥 등 모든 기상현상을 하나의 날씨정보로 보고 동일하게 빨리 예측해달라고 요구하지만 실제 기상예보는 기상현상에 따라 예보가능시간이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예보가능 시간은 기상현상의 수명과 비례한다. 즉 수명이 길면 상대적으로 좀 더 일찍 예측할수 있지만 반대로 수명이 짧으면 그만큼 조기 예측가능성이 낮다. 장마의 수명은 발생해서 소멸하기까지 20~30일, 태풍은 7~10일이다. 또 최근 우리나라에서 자주 발생하는 장마 후 집중호우 현상은 대기가 매우 불안정한 상태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수명은 보통 3~12시간으로 매우 짧다. 미국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토네이도의 수명은 이보다 더 짧은 2~3시간에 불과하다. 벼락, 지진의 수명은 10초 이내로 눈깜짝할 시간에 발생과 소멸이 이뤄진다.

이에 따라 수명이 20~30일인 장마는 5일 전에, 수명이 7~10일인 태풍은 5일 전에 예측이 가능하다. 또 수명기간에 따라 국지성집중호우(1~3시간), 토네이도(1~3시간), 벼락(1~2시간), 지진(없음) 순으로 예측가능시간이 늦어진다.

대기불안정 상태가 심하면 위의 예측가능시간은 더욱 늦어질수 밖에 없다. 기상청 대변인은 “올해 여름 수도권을 중심으로 예상보다 많은 비가 내린 것은 대기 불안정상태가 심했기 때문”이라면서 “이런 경우 대기상태가 일반적인 패턴과 다르기 때문에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수치예보모델이나 기상위성, 기상레이더 등 첨단 기상관측장비를 동원해도 1~2일 전 예측이 어렵다”고 말했다.

<황혜진기자@hhj6386> hhj6386@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