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병원 암센터에 근무하는 전병철 씨(41세)는 지난해 간식으로 먹던 떡이 기도를 막으면서 아찔한 경험을 했다. 죽음이 임박함을 느낄 정도로 어이없는 일로 생명을 위협받았기 때문이다. 전씨는 동료의 심폐소생술로 생명을 건졌지만 그 때를 생각하면 지금도 눈앞이 캄캄하다.
평소 응급상황 대처법을 숙지하고, 상황 발생 시에는 침착하고 신속하게 대응한다면 좋겠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런 대비 없이 응급상황을 맞는 일이 많다. 설, 추석과 같은 명절에는 장시간 운전 및 야외 활동으로 인한 피로, 과음, 과식, 알레르기 등 응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요인이 증가한다.
▶기도폐쇄, 빠른 판단과 정확한 동작이 중요=기도폐쇄의 빠른 확인은 생존율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다. 청색증, 호흡곤란, 자신의 목을 움켜쥐는 등 기도폐쇄의 증상이 나타나는 환자에게 “목에 뭐가 걸렸나요?”라고 물어본다. 환자가 말을 하지 못하고 끄덕인다면 완전 기도폐쇄 상태를 의심하고 즉시 복부 밀어내기(하임리히법)을 실시한다.
환자의 등 뒤에 서서 한쪽 다리를 환자 다리 사이에 넣어 몸이 흔들리지 않도록 지탱하고, 양 팔을 뻗어 한 쪽 주먹의 엄지손가락 면을 환자의 명치와 배꼽 사이 중간에 대고 다른 손으로 감싸 쥔다. 빠르고 강하게 양팔을 조르면서 주먹 쥔 손으로 환자의 복부를 뒤쪽-위쪽으로 강하게 밀쳐 올린다.
이물질이 나오거나 환자가 의식을 잃을 때까지 이 동작을 반복한다. 환자가 의식을 잃으면 환자를 안전하게 바닥에 눕히고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데, 인공호흡을 하기 전 입안을 확인하여 이물질이 보이는 경우에만 손가락으로 이물질을 꺼낸다.
불완전 기도폐쇄인 경우, 환자는 소리를 내거나 기침을 하고 숨을 쉴 수 있으므로 당황하지 말고 침착하게 기침을 유도하여 환자가 스스로 이물질을 뱉어낼 수 있도록 한다.
▶영아는 더욱 주의가 필요=어린이, 특히 1세 미만의 영아는 단추, 동전, 구슬, 장난감 등의 이물질을 입에 넣었다가 삼키면서 기도폐쇄가 일어가는 경우가 많다. 영아의 기도폐쇄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복부밀어내기법은 복부 장기의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등 두드리기’와 ‘가슴압박법’이 권장된다.
▶ 기도폐쇄를 예방하는 안전한 환경 조성=영아의 기도폐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작은 조각으로 분해되기 쉬운 장난감은 주지 않도록 하며, 의자에 앉아서 바른 자세로 천천히 음식물을 먹도록 해야 한다. 손이 닿는 곳에 단추, 동전, 구슬과 같이 작은 물체를 두지 않고, 음식물은 씹기 쉽도록 음식물을 조그맣게 잘라서 준다. 땅콩, 포도, 방울토마토, 팝콘 등과 같이 삼키기 쉬운 음식물은 영아에게 주지 않는다.
▶심폐소생술의 중요성=우리나라에서는 한 해 약 2만 명 이상이 갑작스러운 심정지로 사망한다. 이와 같은 심정지의 60% 이상이 환자의 가정에서 발생하며, 환자가 심정지로 쓰러지는 것을 목격하는 경우도 40%이다. 우리나라에서 심정지 환자를 발견한 목격자가 119에 신고하기까지는 평균 5분, 119 구급대가 현장에 도착하기까지는 약 8분이 더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119 구급대의 도착을 기다리면서 아무런 처치를 시행하지 않는다면 우리 가족이나 친구가 뇌손상 없이 회복될 수 있는 기회는 사라지게 된다. 일반인도 조금만 배우고 익히면 심폐소생술을 실시하여 환자가 사망에 이르는 것을 막고 생명을 살릴 수 있다.
▶소생술에도 중요한 것은 시간=심정지 환자를 살리는 심폐소생술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시간이다. 심정지가 발생하면 생명 유지에 가장 중요한 뇌와 심장은 산소공급이 중단되고 생존의 가능성은 시간이 지나갈수록 떨어진다.
심정지가 갑자기 발생할 경우 우리 몸속에는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산소가 어느 정도 남아있어, 4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이 제공되면 뇌손상 없이 다시 살아날 가능성이 있지만, 아무런 처치 없이 4분이 지나면 뇌손상이 발생하고, 10분 이상 지나면 사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심정지 환자를 살리기 위해서는 환자를 발견한 목격자가 뇌와 심장으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해주는 심폐소생술을 4분 이내에 신속하게 시행해야 한다. 많은 연구에서 목격자 심폐소생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심정지 발생 시 목격자가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작하는 경우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2~3배 이상 증가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박유석 교수는 “기도폐쇄 시 목격자가 신속히 상황을 판단하고 복부밀어내기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해야 호흡곤란으로 일어날 수 있는 심정지를 예방할 수 있다”며 “교육을 통해 대처방법을 습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성인 심폐소생술의 순서=무엇보다 의식과 호흡을 확인하는 것이 첫번째다. 쓰러진 사람을 발견하면 환자의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큰 소리로 의식을 확인한다.
환자가 반응이 없고 숨을 쉬지 않거나 또는 불규칙적인 호흡을 하고 있다면 주변에 도움을 요청한다. 주위에 아무도 없다면 직접 119에 신고한다. 주변에 자동제세동기가 설치되어 있다면 자동제세동기를 가져오도록 요청한다.
상의를 벗긴 상태에서 깍지를 낀 두 손바닥의 손꿈치를 환자의 가슴 중앙에 대고 팔꿈치를 곧게 편 상태로 환자의 가슴을 수직으로 강하게 누른다. 압박속도는 1분에 100~120회, 압박깊이는 5~6cm로 강하고 빠르게 체중을 실어서 압박한다. 압박 후 가슴은 원래 상태로 이완 되도록 한다.
한손으로 머리를 젖히고 다른 한손으로 턱을 들어 기도를 연다. 환자의 코를 이마를 젖힌 손의 엄지와 검지로 막은 후 입을 크게 벌려 환자의 입을 완전히 덮은 후 가슴이 올라오는 것을 확인하면서 평소 숨 쉬는 대로 1초 동안 숨을 불어넣는다. 숨은 가슴이 올라올 정도로 불어넣으며, 절대 과도하게 불어넣지 않는다.
가슴압박 30회와 인공호흡 2회를 119 구조대가 올 때까지 반복한다. 다른 구조자가 있다면 한 사람은 가슴압박, 한 사람은 인공호흡을 맡아서 시행하며 5주기(가슴압박 30회, 인공호흡 2회*5주기)를 시행한 뒤 서로 역할을 교대한다.
심정지 환자가 모르는 사람일 경우 인공호흡 하기를 꺼려해서 심폐소생술을 주저할 수 있다. 그러나 인공호흡이 꺼려지는 상황에서도 가슴압박만을 지속적으로 시행해면 몸속에 남아있던 산소가 뇌와 심장으로 전달되어 효과적인 심폐소생술이 가능하다.
도움말 : 대한심폐소생협회(2011) 생명을 살리는 심폐소생술(군자출판사)/대한심폐소생협회(2011) 공용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심형준 기자/cerju@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