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커버스토리> 4천만명땐 ‘늘까봐’ 걱정 … 5천만명땐 ‘줄어서’ 걱정
1983년 7월. 한 아기의 탄생이 TV를 통해 생중계됐다. 이 아이가 태어남으로써 남한 인구가 4000만명을 돌파했다. 인구 폭발에 대한 심각성이 팽배해졌다. 사회 각계에서 인구 증가 억제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를 드높였다. 정부 차원에서 ‘인구 폭발 방지 범국민 결의 캠페인’이 전개됐다. 

아직도 회자되는 ‘둘만 낳아 잘 기르자’라는 캠페인 용어가 나타난 것도 이 시기다. 이는 금세 ‘하나만 낳아 잘 기르자’로 바뀐다. 도시 밀집, 식량 부족, 실업난 등의 걱정이 뒤따라왔다.

모든 해결책은 인구 증가 억제로 귀결됐다. 2012년 6월. 약 30년 만에 한국의 인구는 5000만명을 넘어서게 됐다. 30년 전의 우려와 달리 인구 폭발 공포는커녕 축제 분위기마저 감지된다. 그간 가파르게 성장한 경제력과 더불어 규모와 능력을 모두 가진 국가로 공인이 됐다는 것이다.

걱정거리 역시 정반대다. 이제는 신생아의 울음소리가 너무 잦아들었다고 걱정하고 있다. 아이를 낳으면 정부에서 돈을 쥐어줄 정도다. 무엇보다 생산가능인구(15~64세)의 급감이 우려스럽다.

결국 ‘5000만명 시대’가 진정 축복이 되기 위해서는 저출산ㆍ고령화 극복이 최대 관건이다. 전문가들은 “저출산 극복은 인구 증가 억제보다 훨씬 어렵다”고 진단한다. 저출산의 주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혼인가치관의 변화, 평균 수명 연장, 양육비 부담,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 등이 당장 그 성격이 바뀔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인구 폭발 공포는 해소했지만 안정적인 인구 증가율 유지라는 숙제가 남았다. 더 어려운 과제일 수 있다. 

<하남현 기자>
/airins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