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홍석희기자] 공동정부냐, 연합정부냐.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와 안철수 무소속 대선 후보의 단일화 이후 그림에 정치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단일화 타결 만큼이나 향후 정국을 쥐락펴락 할 수 있다는 사안이라는 점에서 벌써부터 ‘공동정부’와 ‘연합정부’에 대한 밑그림이 그려지고 있다. 민주당과 안 후보 캠프 일각에서 ‘섀도 캐비닛’이 공론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도 이와 맥을 같이한 것으로 분석된다.
두 후보는 지난 18일 발표한 ‘새정치 공동선언문’에서 “정권교체를 위한 국민연대를 이루겠다. 대선 승리 이후에도 연대의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 측에선 ‘단일화’를 위한 실무 협상 과정을, 다른 한 측에선 대선 이후의 ‘정국 구상’을 그려나가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국민연대’는 지난 6일 단일화 협상 첫 단독 회동 합의문에도 등장한 바 있어, 두 후보가 그리고 있는 대선 이후 ‘밑그림’에 ‘국민연대’가 어떤 식으로 구체화될지에 관심이 모인다.
하지만 문 후보와 안 후보의 발언을 보면 조금씩 뉘앙스가 틀리다. 일단 문 후보는 민주당과 안 후보 캠프가 일정 지분을 갖고 공동으로 정부를 꾸리는 방식인 사실상의 ‘공동정부’에 무게 중심축을 두고 있다. 하지만 안 후보측을 자극할 수 있는 만큼 연대 방식에 대해서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는 분위기다.
문 후보는 이와관련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안철수 후보가 정당이나 정치적 시민운동체를 만든다면 민주통합당과 그 조직의 연합정부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후보측 진성준 대변인도 “연대의 구체적인 상을 마련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면서도 “대선 이후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당장 예상 가능한 것은 안 후보 측이 정치세력화 구체화한다면 공동정부 같은 것이 가능하다. 대선 이전에는 공동선거대책본부가 될 수 있을 것이다”고 가능성을 열어뒀다.
민주당 일각에선국정 운영의 안정성을 위해 차기 정부가 꾸릴 새로운 내각을 먼저 공개하는 ‘섀도 캐비닛’ 방안을 공론화 하자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는 것도 이를 뒷받침한다. 각 후보들이 앞다퉈 공을 들이고 있는 정책 발표만큼이나 이를 직접 실천할 장관들의 면면을 먼저 보이는 것이 ‘책임정치’의 실현이라는 관측에서다. 하지만 차기 장관 인선을 먼저 공개하는 것은 결국 ‘지분 나눠먹기’로 비쳐질 우려가 있다는 점 때문에 아직은 물밑 작업에 그치고 있다.
안 후보측은 공동정부 보다는 대연정과 같은 연합정부에 무게를 두는 모습이다. 안 후보측이 민주당 일각에서 제기됐던 ‘신당론’에 대해 강하게 불쾌감을 나타내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여기엔 신당론 거론 자체가 안 후보의 참신한 이미지를 손상시킨다는 판단도 맞물려 있다.
안 후보는 지난 15일 한 인터뷰에서 “단일후보가 되면 민주통합당은 든든한 국정운영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 후보는 민주당 뿐 아니라 ‘여ㆍ야ㆍ정 협의체’를 구성해 국정을 운영하겠다는 의지도 피력했다. 민주당을 넘어서는 보다 큰 그림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 반면 안 후보는 ‘새누리당의 집권연장에 반대한다’는 의지를 뚜렷이 한 바 있어, 현실적으론 안 후보가 어떤 식으로든 민주당 측과 긴밀하게 필요할 것이란 게 정치권의 공통된 관측이다.
하지만 정치권 안팎에선 두 후보의 국정운영 구상이 결국 ‘자리배분’이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새정치 공동선언에서 국민연대의 형태나 범위, 신당 창당 여부, 대선 이후의 공동정부 수립 방안 등에 대한 구체적 언급을 하지 않은 것도 이 때문이다. ‘권력 나눠먹기’로 비쳐지는 오해를 없애기 위해서다.
결국 관건은 단일화 논의가 ‘야합’이나 ‘자리 나눠먹기’로 외부에 비쳐지지 않게할 수 있는 방안을 짜내는 것이다. 안 후보는 이미 출마선언문에서 ‘자리는 전리품이 아니다’라고 밝힌 바 있고, 문 후보 역시 ‘능력에 따른 인선’을 강조한 바 있다. ‘공동정부론’이나 ‘국민연대’, ‘신당론’ 등 추후 국정운영의 핵심도 바로 인사 문제에 대한 해법으로 귀결될 공산이 커 보인다.
hong@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