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디자인카운슬 매들린 덴미드 원장
한계 절감 디자인카운슬 정책도 변화 절실생존본능 뛰어난 기업·학교에 주도권 줘야
공익목적 서비스 디자인만은 정부가 챙겨야
[런던(영국)=윤정식 기자] “재정적 이유가 됐든 산업환경적 이유가 됐든 이제 영국은 디자인 정책을 관(官)이 주도하지 않는다. 기업이나 학교가 주도하게 뒀다. 한국의 방식이 맞을지 영국의 방식이 맞을지는 두고 볼 일이다.”
지난 2011년 4월 정부로부터 재정적으로 분리돼 떨어져나온 영국 디자인진흥원(Design Council)은 현재 과도기를 겪고 있다. 디자인 산업에 비즈니스 마인드를 극대화한 기획을 엮기 위해 디자이너 출신이 아닌 국영방송 BBC의 기획통으로 유명한 매들린 덴미드(Madeline Denmead) 신임 원장을 새로 영입한 것만 보더라도 얼마나 변신을 갈구하는지가 보인다.
헤럴드경제는 지난해 12월 초 런던 디자인카운슬 사옥에서 매들린 원장을 만났다. 디자인카운슬은 우리나라의 한국디자인진흥원(Kidp)과 같은 역할을 하는 영국의 디자인 기관이다. 당초 영국 정부 산하 기관으로 디자이너 장려ㆍ지원은 물론, 디자인 전반에 관한 연구, 관련 정책 제안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밖에서는 영국 디자인 산업의 위기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매들린 원장은 달랐다. 오히려 기회를 맞았다는 것. 매들린 원장은 “영국 디자인카운슬은 한국을 비롯한 다른 수많은 국가의 디자인 진흥기관의 모델로, 항상 선두에서 방향 설정을 해오던 기관”이라며 “최근의 민영화 변화를 단지 유럽의 재정위기와 연결시켜 부정적 시각으로만 볼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제 국가 디자인 정책의 주도권을 기업과 학교기관에 넘겨주는 모험도 감행해야 할 때”라며 “이런 변화만이 불황에 맞물려 정체된 전 세계 디자인 산업의 자발적 도약을 끌어낼 수 있는 길”이라고 말했다.
굳이 주머니 상황이 어려운 정부는 미련을 버리라는 얘기다. 이보다는 생존을 위해 보다 디자인을 활용한 발전 본능을 갖고 있는 기업이나 학교들로 무게중심이 이동하는 것이 옳은 일이라는 얘기다.
하지만 ‘서비스 디자인’ 단 한 가지 분야만큼은 정부적 관점에서의 주도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이 분야가 미래 디자인 산업의 중심이 될 것이라는 말도 덧붙였다.
그는 “현 민영화 체제에서 한 가지 우려되는 부분이 서비스디자인 부문”이라며 “정부마저도 하나의 고객으로 인식하고 공익적 프로그램으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등 수많은 정부 기관이 경쟁적으로 판매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yjs@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