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이 ‘단일지도체제’로의 변신을 모색하면서 계파갈등이 또다시 재연될 조짐이다. ‘집단→단일’로의 당 운영 방식 변경이 ‘이번에 놓치면 끝’이라는 위기감으로 작용하며 또 다른 계판 갈등의 불씨가 되고 있는 것이다.
민주당 정치혁신위원장 정해구 교수는 29일 헤럴드경제와의 통화에서 “집단지도체제가 계파를 강화시키는 측면이 크다는 데 당내에서 큰 이견이 없는 상황이다. 설 이전까지는 현재의 문제가 뭔지에 대해 토론을 한 다음 설 이후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전당대회에서 1위자가 당대표를, 2~6위자가 최고위원을 맡는 집단지도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이같은 운영은 그러나 당 보다는 당내 지분 싸움, 계파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당대표 몇명, 최고위원 몇명 식의 ‘자기사람 심기’는 계파갈등의 원인이 됐고, 당의 이익보다는 계파의 이익을 우선하는 배경이 됐다는 것이다. 얼마 되지 않는 당내 지분을 향해 당 인사들의 목숨 건 질주가 이어지는 원인인 셈이다.
문제는 이같은 지도체제 논란을 해결하려는 노력이 외려 이르면 4월께로 전망되는 민주당의 전대에서 또다른 계파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집단→단일’로의 당 운영 방식 변경은 지도부와 당직자들의 대대적인 물갈이로 이어질 공산이 크고, 결국 의원들과 당직자들 사이 ‘이번에 놓치면 끝’이라는 위기감으로 또다른 계파 갈등의 불씨가 되는 것이다.
차기 지도부의 임기 연장 방안 논의가 이어지는 것도 이같은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의 당헌대로라면 새 지도부의 임기는 8개월밖에 되지 않는다. 당헌은 ‘당대표 궐위시 새 지도부 임기는 전임 지도부의 잔여임기’로 규정하고 있다. 잦은 지도부 교체가 국민들이 민주당을 불안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원인이라는 분석이 제기되면서 지도부 임기 연장 논의가 전개되는 것이다.
반면 지도부 임기연장에 대해 문희상 비대위원장, 박기춘 원내대표 등 당 지도부는 다소 부정적인 입장이어서 당헌개정을 통한 차기 지도부의 임기연장이 실현될지는 아직은 미지수다.
민주당 전대준비위원회가 위원 인선을 마무리 짓지 못하고 있는 것 역시 계파갈등의 결과물이다. 민주당은 당초 지난 28일 전대준비위원 인선을 마무리 할 방침이었지만 오는 2월 1일~2일 워크숍 이후로 위원 인선을 미뤘다. 민주당 관계자는 “전대를 둘러싼 계파간 이해 관계가 복잡하다. 경선 규칙 설정에 따라 유불리가 명확하게 갈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홍석희 기자/hong@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