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이자영 기자]우리나라 국민이 느끼는 경제적 행복지수는 100점에 40점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0대와 60대는 30점대에 머물렀다. 일자리와 노후에 대한 불안감으로 경제적 행복감이 더 낮은 것으로 풀이된다.
김동열 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원이 세계 행복의 날(20일)을 앞두고 17일 내놓은 ‘세대별 행복추이’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행복수준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6개 회원국 중 24위에 불과하다
연구원이 추산한 우리 국민의 경제적 행복지수는 지난해 100점 만점에 40.4점이다. 50대는 36.4점, 60대 이상은 35.7점으로 다른 연령대(40.4~45.9점)를 밑돌았다. 김 연구위원은 “선진국은 60세 이상의 행복도가 가장 높은 것과 달리 우리는 위와 같은 열악한 행복인프라로 행복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고 말했다.
김 연구위원에 통계청의 세부자료를 분석한 결과 60대 이상 계층의 월 가처분소득은 112만원으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낮았다. 소득보다 지출이 많은 적자가구의 비중도 38.2%로 유일하게 30% 대를 넘겼다.
중산층의 비중도 46.9%로 전체 평균(65.3%)에 크게 미달했다. 월소비액은 124만원으로 40대(266만원)의 반 토막도 안됐다. 지출에서 식료품의 비중인 엥겔지수는 전 연령대에서 최고였다.
고용률은 37.5%에 불과했다. 정규직 비율도 전체 평균 66.7%의 절반도 안 되는 29.5%에 그쳤다.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 가입률은 14.6%로 70~80%대인 다른 연령대와현격한 차이를 보여 노후문제가 심각했다.
50대 역시 중산층의 비중은 62.1%로 전체 평균(65.3%)에 못 미쳤다. 소득은 전 연령대에서 가장 많지만 엥겔지수는 60대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특히 오락문화비 등 삶의 질과 관련한 지출 비중은 작아 생활수준이 열악했다.
정규직 비율은 62.4%로 60대 이상을 제외한 전 계층에서 가장 낮았다. 자영업자의 비중도 21.9%로 다른 연령층보다 많아 고용의 안정성이 크게 떨어졌다.
김 연구위원은 “60세 이상은 노후준비 부족, 50대는 고용 불안이 행복에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60대 이상 고령자를 위한 기초노령연금 지원과 함께 50대 고용안정을 위한 임금피크제, 정년연장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nointerest@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