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후진적 안전사고 언제까지 되풀이할 건가
판교 환풍구 붕괴사고 원인도 세월호 등 최근 다발성으로 벌어진 일련의 대형사고와 별반 다르지 않다. 안전 불감증이 낳은 인재(人災)라는 점에서 닮은 꼴이다. 특히 이번 참사는 넓지 않은 야외공간에서 열정적인 걸 그룹 무대가 펼쳐지고 이 공연을 많은 젊은이들이 즐겼다는 현실을 감안할 때 최우선 고려사항은 안전문제였음은 두 말이 필요없다. 하지만 현장에는 단 한명의 안전요원도 없었다. 기가 찰 뿐이다. 주최측이 조금만 더 안전의식을 갖고 제대로 주변을 확인만다면 얼마든지 막을 수 있는 사고였다.

야외공연은 특성상 높은 곳에 올라가야 무대가 잘 보인다. 이번 사고의 원인제공 시설인 환풍구는 공연무대를 바로 볼 수 있는 조망권에 근접해 있는데다 높이가 1.5m에 불과해 누구나 쉽게 올라갈 수 있었다. 그렇다면 사전에 위험을 적극적으로 표시하고 안전요원을 집중 배치해 관람객의 진입을 제지했어야 옳았다. 후진적 안전사고를 방치 내지는 방조한 것이나 다름없다. 관람객의 안전 불감증도 마찬가지다. 환풍구는 말 그대로 지하공간의 공기를 밖으로 배출하는 시설이다. 사람이 올라가면 순환 공기의 질에도 영향을 미치는 데다, 하중계산도 제대로 돼 있지 않은 곳이다. 원래 올라가선 안된다는 얘기다. 하지만 누구도 이에 대한 주의는 없었다. 사고는 필연적일 수밖에 없다.

정부의 매뉴얼도 비판받아 마땅하다. 3000명 이상의 공연에 대해서만 안전 기준이 있을 뿐 그 이하에 대해서는 아무런 규정이 없다니 소규모 축제에서 사고가 잦은 것이다. 적용 가능한 치밀한 현장 매뉴얼 마련이 시급하다. 아울러 환풍구에 대한 설계,시공, 관리에 대한 기준도 점검해야 한다. 덮개를 상당한 무게에 견딜 수 있도록 튼튼하게 설계, 시공하고 관리 경고문 등을 부착해야 한다. 사람이 아예 올라가지 못하도록 디자인, 시공하는 것은 기본이다.

교육부가 21∼23일 일선 학교와 대학, 시·도교육청 및 소속 기관·단체 등 2만개 기관의 1000만여명이 참여하는 ‘재난대응 안전한국 훈련’을 실시한다고 한다. 경기도 등 지자체 점검도 잇달을 전망이다. 형식은 필요없다. 소잃고 외양간 고치기식 대응이긴 하지만 반복되는 대형 사고를 방지하고 안전 의식을 뼈속 깊이 심기 위한 반복 훈련과 교육은 필수다. 국회도 트집잡기식으로 대응이 아닌라 국민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확고한 대안을 내놔야한다. 설마하는 후진적 안전 불감증을 추방하는 대대적인 의식개혁 캠페인이라도 벌여야 할 판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