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홍길용기자의 貨殖列傳] 장자? 형제?…상속후계를 이해하라
권력이나 재산을 대물림 할 때는 보통 장자 상속이 원칙이다. 하지만 실제 장자에 상속된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권력과 재산을 지킬 후계자를 정하는 입장에서는 단순한 서열 외에 자질도 볼 수 밖에 없어서다. 하지만 스스로 자질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이는 드물다. 그래서 장자 상속이 이뤄지지 않은 경우에는 이른 바 강제 형제상속, 즉 형제간 골육상잔이 많았다. 춘추시대 첫 패자(覇者)였던 제환공(齊桓公)도, 가장 오래 중원의 패권을 유지했던 진(晋)의 기틀을 다진 헌공(獻公)도 후계문제 실패로 나라를 위기로 몰아넣었다.

하지만 춘추시대에도 아름다운 형제상속 사례가있다. 당시 중원인들이 오랑캐라 손가락질 하던 오(吳)나라이다.

오나라를 본격적으로 역사에 등장시킨 첫 임금은 수몽(壽夢)이다. 그에게는 제번(諸樊), 여제(餘祭), 여매(餘昧), 계찰(季札)의 네 아들이 있었다. 수몽은 가장 어질고 현명한 계찰을 후계로 삼으려 했다. 하지만 계찰은 장자가 엄연히 있는 데 자신이 군위에 오를 수 없다며 이를 사양, 결국 제번이 왕위에 오른다. 그런데 제번도 자신의 아들이 아닌 동생 계찰을 후자로 지목한다.

하지만 계찰은 또 사양한다. 제번은 유언으로 ‘나의 뒤는 여제가 잇는다. 형제 순서대로 왕위가 전해져 반드시 계찰이 왕위에 오르도록 해 선왕(수몽)의 유지를 받들라’로 정한다.

결론적으로 계찰은 끝내 왕위를 사양한다. 하지만 그의 세 형들이 왕위에 있는 동안 오나라는 비약적으로 발전한다. 그 원인 가운데 하나가 계찰에게 왕위를 물려주기 위해 몸을 아끼지 않고 국정에 임한 까닭이다. 다만 계찰이 왕위를 받지 않음으로써 그의 조카들간에는 한 차례 유혈 사태가 벌어진다. 형제왕들의 아들 중에 누가 후계가 될 것이냐는 게 문제다.

국가와 기업에서 후계는 가장 중요한 문제 가운데 하나다.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와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우리 기업의 후계야 워낙 자주 언급되니, 굳이 관심을 가지라 말할 것도 없다. 그런데 의외로 우리가 쓰는 에너지의 대부분을 수입하는 중동지역의 지속가능성 문제에는 관심이 그리 크지 않다.

세계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도 왕위를 형제상속하고 있다. 최근 즉위한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 사우드 국왕은 초대 국왕 이븐 사우드의 25번째 아들이다. 차기 국왕 후계자인 무크린 빈 압둘아지즈 알 사우드 역시 이븐 사우드의 35번째 아들이다. 이븐 사우드의 아들들이 모두 왕위에 오른다고 하더라도, 결국엔 사우드 왕가 3대(代)의 누군가가 왕위에 오를 것이다. 엄청난 변화가 아닐 수 없다. 기업이건, 정치건 후계에 대한 폭 넓은 이해는 화식(貨殖)을 위해 꼭 갖춰야 할 덕목이다.

ky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