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3일 사우디아라비아의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국왕과 정상회담을 갖고 ‘스마트(SMART) 원자로’ 수출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로써 2조원 규모의 토종 스마트 원전 수출은 물론 향후 제3국 공동 수출과 현지 기술인력 수출의 길이 활짝 트였다. 상업용 원전수출은 지난 정부의 아랍에미리트(UAE)에 이어 두 번째이지만 중소형 원전 수출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스마트 원전은 단순한 수출 이상의 각별한 의미가 있다. 우선 세계적 추세였던 바닷가 대형원전건설시대는 막을 내린지 이미 오래다. 지구의 기상이변과 노후화 등으로 일본 후쿠시마 원전과 같은 대형 사고 위험이 날로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을 비롯해 러시아, 프랑스 등 원전 선진국들이 보다 안전한 소형원자력 발전시대를 선언하고 천문학적인 돈을 들여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것도 이런 맥락이다.
한국원자력연구소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스마트 원전은 바로 이같은 탈(脫)대형원전 시대에 걸맞는 최적 기술 에너지 상품이다. 일단 대형 원전의 10분의 1 수준인 10만㎾급 중소형이어서 사고 위험이 상대적으로 적고 안전면에서 유리하다. 냉매를 냉각수 대신 공기로 가능하도록 개선해 사막지대 등 내륙 깊숙한 곳에도 건설이 가능하다. 적은 비용으로 전기생산과 함께 해수 담수화 등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도 큰 매력이다.
중동의 맹주인 사우디와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계기로 스마트 원전을 국가 대표 수출상품으로 키워야 한다. 2050년까지 350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는 세계 중소형 원전 시장을 한국이 선도할 절호의 기회로 삼자는 것이다. 당장 중동 국가들이 석유 고갈과 자국 전력 수요에 대응한 신(新) 에너지원 확보에 열을 올리는 만큼 이를 활용한 확대진출 전략 마련이 절실하다. 이같은 분위기를 십분 살린다면 아프리카 등 인접국과 인도네시아 같은 섬나라 진출에도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다.
카이스트 교수진과 학생을 사우디 대학에 보내 원자력공학과 개설을 지원하는 것 역시 기술인력 수출과 향후 필요한 글로벌 인재 양성이라는 차원에서 긍정적이다. 다만 아직 실체와 실전 가동 경험이 없는 점을 보완해가는 것은 절대 필요하다. 선진국들의 경쟁이 치열해질 수 있는만큼 시공과 운영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지난 1997년 중소형 원자로 개발에 착수한 이래 18년동안 공들인 끝에 잡은 수출의 기회가 공염불이 되지않도록 외교적 노력을 배가해야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