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검찰 사정 표적에 올랐다. 당초 포스코건설의 베트남 해외법인 비자금 조성 의혹에 검찰의 칼끝이 겨눠졌으나 모기업 경영 전반으로 수사가 확대되는 분위기다. 지난 수년간 벌인 기업 인수ㆍ합병 비리에 초점이 맞춰지면서 전 그룹 계열사로 번지고 있는 것이다. 당시 기업 인수합병을 주도했던 정준양 전 회장과 전ㆍ현직 고위 간부들은 출국 금지되고 20여개 통장을 뒤지는 금융조사가 진행중이다. 지난 12일 이완구 총리의 ‘부정부패와의 전쟁’ 선언 후 나온 검찰 첫 수사 대상인데다 이명박 전(前) 정부와 맞닿아 있다는 점에서 결과가 주목된다.
포스코는 문어발식 계열사 인수 및 합병으로 지난 2009년부터 불과 3년만에 계열사 수가 35개에서 70개로 늘어났다. 더구나 이때 인수한 상당수 업체는 포스코의 전문 영역인 철강과 관련이 없는 기업들이다. 또 경영 부실이 극심한 데다 인수가격이 터무니없이 높게 책정됐다는 의혹도 제기된 바 있다. 정 전 회장은 인수합병 외에 인도네시아에 인도제철소를 설립했고, 브라질에 합작으로 제철소를 설립하거나, 태국 철강업체 타이녹스 인수 등 해외자원 개발을 시도한 점도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포스코 연고지인 포항 출신 이상득 전 의원 등 MB정부의 정치인맥과 서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포스코는 현금성 자산이 지난 2009년 8조5000억원대에서 지난해 6조2000억원대로 급격히 떨어졌다. 인수기업이 부실화되자 지난해 이후 부실기업 정리와 자산을 매각하는 구조조정을 벌이는 처지다. 초우량기업이 부실화된 책임과 배후는 철저히 밝히는 게 당연하다. 새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 정권 입맛에 맞는 인사가 회장 자리에 오르고, 정권이 끝나면 사정의 칼날을 맞은 포스코의 반복된 시련은 이제는 끝내야 한다. 정치적 입김이 작용해 부실의 원인을 제공했다면 누가, 어떤 구조로 마구잡이 기업인수와 투자에 나서게 했는지 철저히 수사하고 응징해야 마땅하다. 죽은 권력에 대한 비리뿐만 아니라 살아있는 권력에 대한 사정도 눈감지 않는 엄정한 자세가 필요하다.
하지만 경제살리기에 매진해야 할 시점에서 느닷없는 기업 사정은 의외이며 자칫 오해를 사기 십상이다. 더욱이 국면전환을 위한 사정이거나 군기잡기용이라면 그 의미를 훼손하게 되는 것은 물론 한계를 드러낼 수 밖에 없다. 잘못된 부분들은 철저히 발본색원하는 게 검찰의 임무다. 그러나 특정 기업에 대한 정치적 표적 사정은 곤란하다. 무엇보다 검찰의 냉정하고 중립적인 자세가 요구되는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