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1주년을 맞았다. 과연 무엇이 달라졌는가 자성부터 앞선다.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는 와닿지 않는다. 16일 세월호 1주기 추모행사가 진도앞 팽목항에서부터 안산, 그리고 서울 광화문 등 전역에서 릴레이하듯 이어져 애통과 애도의 물결이 넘쳐 났다. 기성세대는 물론 아이들에 이르기까지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는 각오를 다졌다.
박근혜 대통령은 대한민국 안전은 세월호 참사 전과 후가 완전히 달라야한다며 압축성장 후유증으로 생겨난 대충 대충 의식과 부정 부패 일소, 안전하고 투명한 나라를 만들겠다고 국민 앞에 약속했다. 가슴에 단 노란 리본은 바로 이런 약속을 잊지 말자는 맹세의 표증이었다. ‘안전 공화국’을 부르짖으며 법과 제도, 조직을 만들고 세월호 법 등을 제정하면서 실천에 나선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이같은 다짐과 법ㆍ 제도의 신설, 통합과 치유 노력의 성과는 제한적이다.
정치권은 당리 당략과 제밥 그릇 챙기기에만 몰두, 분열의 진원지가 됐고 각종 안전 관련법 제정은 로비에 밀려 유명무실해 지거나 입법대에 오르지도 못했다. 일이 되도록 매듭을 풀어야 할 정치권은 일은 더욱 꼬이게 했다. 관피아 척결만 해도 그렇다. 감독권을 가진 관료와 산하 기관 유착고리를 끊지 않고서는 대형 인재를 막을수 없다는 판단에서였다. 국가 대개조 범국민위원회 신설, 정부조직 개편, 관피아 방지법 등이 행해졌지만 형식적 변화에 그쳤다.관피아가 떠난 자리는 낙하산 정피아가 눌러 앉아 개선이 아닌 개악이 되고 말았다. 그러는 사이에 고양종합터미널을 비롯해 의정부 주상 복합, 장성요양병원 등의 대형 화재, 판교 환풍구 사고, 베링해 오룡호 침몰 등 후진적 인재가 연이어 터졌다.
16일은 세월호로 유명을 달리한 304명의 영령에게 약속한 다짐을 점검하고 국민의 안전의식을 재무장하는 제1회 국민안전의 날이다. 이를 계기로 다시 한번 각계 각층이 성숙한 시민의식을 발휘해 반목과 갈등을 접고 화해와 통합의 길로 나서야 한다. 여기에는 안전불감증에 대한 통열한 자기 반성과 실천이 전제되어야 한다. 특히 정부는 진정성을 보여야 옳다. 보상과 배상에 앞서 유족들의 목소리를 더욱 귀담아 듣고 수렴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그런 의미에서 1주기에 중남미 순방에 나서는 박 대통령의 처신은 국민의 마음을 제대로 읽지 못한 것이다. 추모제에 관련 부처 장관들이 대거 불참하는 것도 국민적 통합노력에 역행하는 모습이다. 대한민국은 5000만 국민이 함께 탄 세월호임을 잊어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