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중국에 기댄 WHO, 中 통제력 믿다 ‘뒤늦은 대응’
편향적 행보 속 사태 키워
트럼프, 자금지원 보류 검토
컨트롤타워 입지 더 좁아져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해 12월 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첫 발병 이후 늦장 대응과 중국 감싸기로 일관하면서 초유의 ‘전염병 사태’를 키웠다는 비판에 휩싸이고 있다.

심지어 최근에는 WHO의 중국 편향적 행보에 반기를 든 미국과 WHO를 두둔하고 나선 중국 간의 힘 겨루기가 본격화하면서 세계 전염병 대응 컨트롤타워로서 WHO의 입지는 더욱 좁아지는 분위기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현지시간) WHO의 미흡한 대응에 노골적으로 반기를 들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WHO가 ‘중국 중심적’이라며 맹공을 펼치며 미국의 자금 지원 보류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이튿날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사진) WHO 사무총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이같은 발언이 “바이러스를 정치 논쟁화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중국도 거들었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중국은 WHO가 글로벌 방역에서 지속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WHO의 친중(親中) 논란은 하루 이틀일이 아니다. 일찍이 테드로스 사무총장은 중국 비호 논란의 중심에 서왔다. 코로나19가 중국을 집어삼키던 지난 1월, 그는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을 만나 “중국의 전염병 통제 능력을 믿는다”고 했다. 지난 2월 중순 뮌헨 안보회의에서도 “중국이 발병을 원천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조처가 세계에 시간을 가져다 준 것으로 보인다”면서 중국에 대한 변함없는 믿음을 보였다.

결국 이같은 WHO의 중국 감싸기는 전염병 통제를 위한 대응까지 느슨하게 만들었다는 평가다.

당초 대인 간 전염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면서 전염 사태를 축소 해석해오던 WHO는 첫 발병 후 한 달이 지난 1월 30일에서야 코로나19에 대한 국제 공중보건 위기 선언(PHEIC)을 선언했다. 심지어 이 과정에서도 WHO는 주요 발병국인 중국에 대한 전세계적 입국 제한 조치 확산을 우려하는 듯 “이동 제한 조치를 권고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팬데믹 선언’ 과정에서도 WHO는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했다.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전 세계적으로 12만명에 육박하고 피해 국가도 110개국이 훌쩍 넘고, 코로나19가 이미 팬데믹 단계에 진입했다는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높아질 때였다. 3월 초 “여전히 코로나19 팬데믹을 정의하는 중”이라면서 신중론을 보여온 WHO는 결국 같은달 11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는 평가를 내렸다”고 선언했다.

손미정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