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대 중점 분야 중심 R&D 추진
-1Tbps급 전송속도 개발 목표
-전송 지연 5G대비 10분의 1수준
-포스트코로나 과학기술 정책방향 제시
[헤럴드경제=정태일 기자]정부가 6세대(G) 이동통신 연구에 본격 착수한다. 내년부터 5년간 2000억원 이상을 투자해 2026년부터 6G 시범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6일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6G 이동통신 연구개발(R&D) 추진 전략'을 발표했다.
6G R&D는 초성능·초대역·초정밀·초공간·초지능·초신뢰 등 6대 중점 분야 중심으로 진행된다. 내년부터 5년간 총 2147억원이 투입된다.
이를 통해 전송 속도를 1Tbps급으로 구현할 계획이다. 앞서 과기부가 발표한 5G 평균 전송 속도는 656.56Mbps였다. 이와 함께 전송 지연을 5G 대비 10분의 1수준으로 대폭 낮춰 연결성을 더욱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여기에 저궤도 위성 6G 통신을 통해 플라잉카, 드론을 제어할 수 있도록 지상 서비스 범위를 10㎞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또 코어망부터 무선망까지 네트워크 전 구간에 AI(인공지능) 기술을 구축하고, 비대면 사회 보안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설계 단계부터 보안기술을 내재화할 예정이다. 5G는 보안기능을 선택적으로 추가하는 방식이었다.
과기부는 6G 기술 개발이 완료되는 2026년부터 'Pre-6G'(상용화 이전 단계) 기술을 적용해 '6G 업그레이드 시범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실감콘텐츠, 자율주행차, 스마트시티, 스마트공장 등 주요 분야에 6G 기술을 선제 도입한다는 전략이다.
내년부터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6G 국제 표준화를 착수할 예정으로 글로벌 표준 경쟁에도 적극 대응한다. 특허청과 협력해 표준특허 확보 가능성이 높은 기술을 집중 발굴하는 '표준특허 전략맵'을 구축한다. 기업과 기관에 R&D 자금과 표준특허 확보전략을 패키지로 지원한다.
6G 핵심기술 검증 및 핵심부품·장비 국산화를 위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유망 중소기업의 기술 사업화를 위한 바우처 방식 R&D를 지원할 예정이다. 또 ‘6G R&D 전략위원회’와 ‘6G 핵심기술개발 사업단’을 운영해 제도적 지원 체계도 마련할 예정이다.
이날 코로나19 이후에 대응하는 '과학기술 정책방향’도 제시됐다. 우선 R&D 기획 단계부터 선제적 규제 혁신을 추진하는 민간 중심 R&D모델을 도입한다. 민간 전문가에게 전권을 부여해 올해 말부터 '초대용량 DNA메모리', '수중·공중 기동 가능 무인이동체' 등의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이와 함께 지역대학과 기업을 연계한 비학위교육, 디지털 재교육, 경력전환 플랫폼 등을 도입해 연구 인력을 강화한다.
코로나19 등에 대한 과학기술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위기상황 별 전담연구기관을 지정한다. 기술·데이터 기반의 사전감시와 위기발생 시 긴급대응연구를 신속히 추진하는 위기대응체계도 구축키로 했다.
killpass@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