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엄마·언니가 자궁근종 있는데, 임신이 잘 안된다면...
자궁근육층 섬유화 변화로 ‘혹’ 생성
20대부터 시작돼 ‘4050’ 60% 발병
부정출혈·생리통 심하면 원인 확인을
심하면 호르몬제 복용해 증상 조절
약물 치료에도 악화땐 수술 등 필요
근종 5개 이상이라면 재발 위험 높아져

자궁에 생기는 양성 혹인 ‘자궁근종’은 20대부터 생기기 시작해, 4-50대 정도 되면 거의 60%에 가까운 여성들이 하나 정도는 갖고 있을 만큼 흔하다. 암은 아니기 때문에 생명에 지장이 없고 증상이 없는 경우도 많지만,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상당히 심할 수 있어서 주의가 필요하다.

자궁근종은 자궁 근육층 내에서 섬유화 변화를 통해 딱딱한 혹이 생성되어 성장하는 것으로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유전적 요인,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등 여성호르몬적 원인,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대부분 증상을 일으키지 않아 의학적으로 큰 문제를 동반하지 않는다면 치료가 필요하지는 않지만, 일부에서는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의 통증과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자궁근종 주요 증상·과다한 생리량, 극심한 생리통=먼저 생리 양이 갑자기 늘어난다면 자궁근종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내막을 누르는 근종이 있을 때 하혈하듯이 양이 많아질 수 있으며, 특히 빈혈을 동반할 정도로 생리양이 늘어난다면 반드시 산부인과를 방문해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생리 예정일이 아닌데 출혈이 일어나는 부정출혈이 있거나 피가 덩어리가 질 정도의 양이 되는 경우에도 자궁근종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두 번째로 눈여겨 봐야하는 증상은 생리통이다. 자궁근종이 있으면 생리통이 심해질 수 있는데, 근종 이외에도 자궁선근증이나 자궁내막증에 의해서도 생리통이 심해질 수 있다. 따라서 평소와 달리 생리통이 심해졌다면 병원을 내원해 정확한 원인을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임신을 준비 중인 가임기 여성이라면 임신이 잘 되지 않을 때도 자궁근종이 원인은 아닌지 확인해봐야 한다. 근종이 자궁내막을 누르고 있거나 자궁내막 아래로 튀어나와 있으면 임신을 방해한다. 따라서 임신을 준비 중이라면 초음파 검사를 통해 자궁의 건강상태를 사전에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빈뇨도 자궁근종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증상 중 하나다. 자궁근종이 방광을 누르게 되면 자꾸 소변이 마려운 느낌이 발생할 수 있다.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이라면 방광염일 수도 있지만, 지속적으로 빈뇨 증상이 있다면 자궁근종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또한 자궁근종이 직장이나 상복부를 누르면 배변 장애, 소화장애가 발생하기도 한다.

▶초기에는 약물·호르몬 복용으로 조절, 로봇수술로 자궁보전, 임신·출산도 가능=자궁근종은 가벼운 증상만 있다면 치료할 필요는 없다. 다만 주기적으로 크기의 변화 등을 추적관찰 하는 것이 좋다.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약물을 복용해 증상을 조절하고, 항에스트로겐제제나 프로게스테론과 같은 호르몬제를 사용해 근종의 급격한 성장을 조절할 수도 있다. 하지만 약물이나 호르몬제 복용으로도 조절이 되지 않고 증상이 점차 악화된다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고려대 구로병원 산부인과 신정호 교수는 “근종이 자궁 내막과 얼마나 가까운지가 중요한데, 근종이 자궁 내막에 붙어있거나 자궁 내막을 누르고 있거나 자궁 내막 아래로 튀어나와 있다면 크기가 작아도 생리양을 상당히 늘어나게 하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반드시 수술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예전에는 근종 수술 시 자궁 보전이 힘들었지만, 최근에는 로봇수술이 점차 보급 되면서 근종만 제거하면서 자궁은 살리는 경우가 더 많아졌다.

신 교수는 “근종만 제거하면 임신도 가능한데, 이후 출산 진통 시 자궁 파열의 위험이 있으므로 자연분만 대신 제왕절개로 출산을 해야 한다는 점은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조언한다.

30~40대 여성이 수술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20대에서도 종종 수술이 필요한 정도의 큰 근종이 발견되기도 한다.

▶어머니·자매가 근종 있다면, 발생 확률 약 3배 높아=자궁근종은 뚜렷한 발생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다만 유전적인 연관성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어 어머니나 자매가 근종이 있다면 자신에게도 근종이 생길 확률이 2.5~3배 정도 높다는 것을 인지하고 주기적인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권장된다.

신 교수는 “‘경구 피임약을 복용하면 생긴다’는 등의 잘못된 속설이 있지만 연관은 없다”며 “다만 한 번 근종이 만들어졌던 자궁은 수술로 제거하더라도 재발할 수 있는데, 특히 근종 개수가 5개 이상이라면 재발 가능성이 높으므로 주기적 경과 관찰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김태열 기자

kt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