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부인과신생아 전문 소아청소년과소아외과 진료팀의 협진 필수
태아의 태변이 때로는 태아의 건강을 위협하는 경우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태변 장폐색, 태변 마개 증후군, 태변 복막염 등이 그것으로 정기적인 산전 진찰이 매우 중요하다. |
[헤럴드경제=김태열 건강의학 선임기자] 태변 증후군은 태아의 태변과 관련된다. 태변이란 자궁 속의 태아가 지속적으로 양수를 마시면서 생성되는 태아의 대변을 말한다. 양수에 포함된 태아의 피부에서 떨어져 나간 상피 각질, 태아의 태지, 털 등이 장 내에 쌓여 형성되고 대개는 출생 후 24시간 이내에 배출하는 암녹색의 끈적거리는 대변이다. 경희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최용성 과장은 “태아의 태변이 때로는 태아의 건강을 위협하는 경우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태변 장폐색, 태변 마개 증후군, 태변 복막염 등이 그것으로 정기적인 산전 진찰이 매우 중요하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태변 장폐색은 장 내에서 낭성 섬유화와 연관되어 오는 경우가 있으며, 장의 운동성을 떨어지게 만들어 태아 소장의 원위부인 공장 및 근위부 회장 부근에서 폐색을 유발한다.
태변 마개 증후군은 태변이 병마개처럼 장을 막아버려서 발생한다. 아기가 출생한 후에는 공기를 마시게 되어 점차 장에 공기가 차게 되는데, 이처럼 장안에 마개로 인해 막히게 되면 막힌 부위 아래로 장 가스가 통과하지 못하고 점점 팽창하게 된다. 경희대병원 소아청소년과 최용성 과장은 “태변 마개 증후군은 최악의 경우에 장에 구멍이 나는 천공이 발생돼 긴급 수술을 요하게 된다”며 “이런 경우에는 주로 미숙아를 치료하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산모의 고혈압 치료를 위한 약제가 아기의 장운동성을 떨어지게 하거나 미숙아 장의 미숙함 그 자체에 의해서도 발생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태변 복막염은 아기가 태어나기 전인 태아 기간에 장 천공이 발생되는 것이다. 태변 복막염은 태변 장 폐색, 태아의 장이 태내에서 꼬이는 장 염전, 태아의 장 일부분이 선천적으로 막혀 있는 기형인 선천성 장 폐색, 복막 내에서 조직이 실타래처럼 발생하여 장을 묶어 버리는 복막 밴드, 선천성 탈장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된다.
소아청소년과 최용성 과장은 “아기가 엄마 뱃속에 있는 동안인 태아 기간에 장 천공이 일어나면, 태변으로 인해 태아의 복부에서는 복막염이 발생되는 것”이라며 “특히 태변 복막염은 산모도 모르게 조용히 진행되기 때문에 산부인과 전문의의 정기적인 산전 진찰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용성 과장은 “산부인과 정기 검진 중에 산전 초음파를 통해서 아기 복부에 복수가 차 있거나, 태변이 복강으로 빠져나와 생겨난 석회화 등이 발생되면 지체 없이 대학병원 산부인과를 방문해 치료 계획을 신속히 수립하고 조치해야 한다”고 언급하며 “이런 상황에서는 산부인과, 신생아 전문 소아청소년과, 소아외과 교수팀의 협진 치료가 매우 중요한 긴급을 요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상 소견이 있거나 진단이 어려운 사항이 있을 경우, 산부인과 의사와 상의해 신생아 전문 내과 및 외과 전문의가 있는 대학병원으로 반드시 방문해 아기의 치료 계획을 산전에서부터 수립하고 아기의 출생과 동시에 치료에 들어가도록 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
특히 최 교수는 “산부인과 교수는 태아의 상태를 판단해 응급 제왕절개술을 포함한 분만 계획을 수립하고 신생아 전문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신생아중환자실에서 해당 아기의 입원 치료를 맡게 된다. 아기에게서 저혈압을 동반한 패혈증은 없는지, 호흡 문제는 괜찮은 지 적극적인 치료 개입을 지체 없이 시작하게 된다”고 말하며 “소아전문 외과 교수와도 신속히 협진을 진행해 아기의 궁극적인 치료인 수술적 치료를 논의하고 진행하게 된다”고 말했다.
수술은 복강 안에서 장 천공을 일으킨 부위를 찾아 내고 이를 교정한 후, 필요 시 장 절제와 재문합술을 시행한다. 이는 복강 내의 유착을 치료하고 오염된 태변을 깨끗이 정리해 내는 것으로 매우 작은 신생아이기 때문에 쉽지 않은 고난도 수술이다. 따라서 이러한 수술에 신뢰할 만한 소아외과 교수가 수술을 진행하는지와 소아외과 전문팀이 구비되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수술을 마치면, 신생아 전문 소아청소년과 교수와 재협진을 통해 수술 후 아기 컨디션을 더욱 안정화시키는 치료를 며칠간 진행한 후 퇴원시킨다.
경희대병원 소아청소년과 최용성 과장은 “아기의 산전 진단은 매우 중요하기에 정밀 초음파 날짜를 꼭 지키길 당부드린다”고 말하며 “이상 소견이 있거나 진단이 어려운 사항이 있을 경우, 산부인과 의사와 상의해 신생아 전문 내과 및 외과 전문의가 있는 대학병원으로 반드시 방문해 아기의 치료 계획을 산전에서부터 수립하고 아기의 출생과 동시에 치료에 들어가도록 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수술이 잘 된 아기의 치료 후 예후는 매우 좋은 편이라 큰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된다”면서 “다만 모든 치료가 끝난 후에도 아기가 잘 먹는지, 성장은 잘 하는지 추적관찰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kty@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