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리적 부담까지 고려하면 약 2.3배 더 높아
- 사회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한 재활시스템 구축 절실
[헤럴드경제=김태열 건강의학 선임기자] 후천성 뇌손상으로 인해 매년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사회경제적 부담이 5조가 넘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립교통재활병원 산하의 교통재활연구소에 따르면 2015~2017년 3년간 20세 이상 후천성 뇌손상 환자 372만 여명(건강보험 3,058,198명, 자동차보험 663,131명)을 분석한 결과, 후천성 뇌손상의 사회경제적 부담은 2015년 4조 6768억원에서 2017년 5조 7374억원으로 증가해 한국의 GDP 대비 약 0.35%를 차지하는 규모로 조사됐다.
사회 경제적 비용은 의료비용, 비의료비용 간접 비용 모두 산출한 결과로 전체 5조 7374억 중, 남성은 3조 1417억원, 여성은 2조 5956억원을 차지했다. 또 후천성 뇌손상을 질병별로 구분하면, 전체 부담 중 뇌졸중이 약 72.4%, 교통사고나 낙상 등으로 인한 외상성 뇌손상은 약 18.6%, 비외상성 뇌손상은 약 9%를 비율을 보였다. 각 각의 손상 모두에서 의료비용, 비의료 비용이 매년 증가했다.
특히, 성인이 된 이후 겪게 되는 뇌손상은 대부분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환자와 그 가족이 겪는 심리적 부담까지 고려한다면 지금의 사회경제적 부담에 비해 약 2.3배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비용 산출은 유병률 접근법과 사회적 관점을 활용하여 2015년부터 2017년까지 후천성 뇌손상 중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비외상성 뇌손상의 의료비용, 비의료 비용(교통비용과 간병비용), 그리고 간접비용(노동력 상실, 사망 등에 따른 생산성 손실 비용)을 산출하였다.
이자호 교통재활연구소장은 “급성기 단계에서 재활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충분한 재활 후 사회로 복귀하는 재활의료시스템의 구축은 뇌손상 환자로 인해 커지고 있는 사회경제적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주요 보건의료 전략 중 하나”라며 “환자가 가정과 사회로 건강하게 복귀 및 재정적인 지원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뇌신경재활학회지(Brain & Neurorehabilitation) 최근호에 실렸다.
kty@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