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성장·저출산·고령화 등 ‘3중고’ 구조적 한계 극복
AI 기술혁신·산업 대전환 등 4대 과제 중점 추진
5월 AI 서울정상회의서 디지털 질서 확립 주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경.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
[헤럴드경제=고재우 기자] 주요 국가 및 기업 등에서 글로벌 인공지능(AI) 전쟁이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AI G3(주요 3개국) 도약을 선언했다.
생성형 AI 도입으로 성장 둔화·저출산·고령화 등 ‘3중고’에 빠진 국내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고, 3년 내 연간 300조원 이상의 경제효과를 창출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AI 기술혁신, 전 산업 AI 대전환, 선도적 AI 도입, 새로운 디지털 질서 정립 등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4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AI전략최고위협의회’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이 같은 청사진을 발표했다.
최근 대한민국은 저성장, 저출산, 고령화 등 구조적인 한계에 봉착한 상태다. 오는 2025년에는 초고령 사회 진입 예상되고 있는데, 생성형 AI 도입으로 반전을 꾀한다는 복안이다.
미국 컨설팅 업체인 베인앤컴퍼니가 지난 1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대한민국이 국가 전반에 AI를 성공적으로 도입할 경우 연간 국내총생산(GDP) 증대 123조원, 비용절감 185조원 등 약 310조원에 달하는 경제적 효과가 예상된다.
나아가 향후 3년간 국내 GDP 최대 1.8%p 추가 성장을 견인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헤럴드DB] |
과기정통부는 중점 과제로 ▷AI 기술혁신 ▷산업 AI 대전환 ▷일상에서 선도적 AI 도입 ▷새로운 디지털 질서 정립 등을 제시했다.
우선 AI 기술혁신을 위해 기술력 격차를 좁히고, 인재 양성, 인프라 등에 전력투구할 계획이다. 지난 2022년 이래 대한민국의 AI 소프트웨어(SW)기술력은 선진국인 미국 대비 떨어지고 있는 추세인데 신경망처리장치(NPU), 프로세싱인메모리(PIM), 뉴로모픽 혁신을 비롯해 저전력 AI반도체 등 AI반도체 가치사슬 전반의 기술혁신을 추진한다.
오는 2026년 AI융합혁신대학원, 2030년 AI대학원 등 해외대학과 연계를 통해 글로벌 공동연구 등을 강화하는 글로벌 AI혁신대학으로 개편한다.
AI 데이터 등 트래픽 폭증 및 초공간 서비스 등장을 대비해 AI 기반 기지국 저전력화, 6G 상용화 등은 물론, 주파수 공급 등 도심항공교통(UAM)를 포함한 신산업 본격화, 데이터센터 등 재난관리 강화, AI 보안내재화 등에 힘을 쏟는다.
전 산업 분야에서 AI 대전환에도 나선다. 분야별 상이한 AI 기술 도입에 따른 파급효과 및 장애요인 등을 분석하고, 각 업종별 실증사업, 연구개발(R&D), 규제특례, 제도개선 등 정책패키지를 마련할 예정이다.
특히 AI 전환 혁신 생태계 조성을 전담 지원하는 전담센터를 업종별로 구축하고, AI 플랫폼 육성, 데이터 구축 등에 나선다.
국민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도록 AI 도입도 선도적으로 이뤄진다. 장애인·어르신 돌봄 등 보육·교육·주거 등에 도입될 AI를 정책적으로 지원하고, AI를 기반으로 한 실시간 산불·홍수 등 재난 대비, 공공행정 AI 내재화 등도 추진된다.
아울러 글로벌 차원에서 새로운 디지털 질서 정립 논의를 주도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디지털 공론장 운영 등을 통한 제도개선 방향을 마련한다.
오는 5월 개최되는 AI 서울 정상회의에서 한-OECD 상설논의체인 ‘디지털 사회 이셔티브’ 신설 및 9월 UN 글로벌 디지털 컴팩트 ‘디지털 권리장전’에 주요 원칙을 반영하는 등 주도권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ko@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