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K-김’ 생산지 해외까지 넓힌다
해수부 ‘김 경쟁력 강화방안’ 발표
내수·수출 물량 안정적 확보 차원
국제표준화 추진 ‘제값받기’ 시동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 내에 김이 진열된 모습 [뉴시스]

정부가 내수와 수출에 필요한 김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먼 바다, 육상, 해외 등 생산지역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물량 확대에 더해 K-김 브랜드화, 국제표준화 추진, 등급제 도입 등 부가가치 제고를 통해 우리 김 ‘제값 받기’에도 속도를 낸다.

해양수산부는 31일 우리 김의 생산·가공·수출 전 주기 개선방안을 담은 ‘김 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K-푸드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전 세계적으로 김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국내 전체 김 원료(물김) 생산량은 연 50만~60만톤(t) 수준에서 유지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 6월 김 산업 협의체를 구성, 김의 안정적인 공급은 물론 품질 제고에 초점을 맞춘 대책을 마련했다.

정부는 우선 내수·수출에 필요한 물량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양식면적 확대에 나서기로 했다.

기존에 발표한 2700㏊(헥타르·1㏊는 1만㎡) 규모 신규 양식장 개발과는 별도로 먼바다(수심 35m 이상 외해)에서의 김 양식도 1000㏊ 규모로 처음 시도한다. 내년에는 해외 생산기지 확보 방안을 마련하고, 육상에서 김을 양식하는 기술 개발에 본격 착수한다.

아울러 양식관리선의 입·출항, 물김 보관, 수산물 가공 등 양식 과정에 최적화된 ‘양식전용 어항’의 타당성도 검토한다. 기후 변화에 대응해 고수온에 강한 신품종을 2026년까지 개발해 보급한다.

정부는 김 생산·가공 부문에 소규모·영세업체가 많아 품질 향상과 자동화를 위한 투자 여력이 부족하다는 점에도 주목했다.

이에 따라 소규모 양식장이 통합해 어업법인화하면 정부 지원사업에서 우대해주고,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물김 자동 적재 등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도 개발해 보급하기로 했다. 300여개의 마른김 업체를 조직화한 ‘마른김 수협’(가칭) 출범 등 협력 모델을 발굴하고, 내년부터 기존 김 가공공장을 스마트공장으로 전환하는 작업에도 착수한다.

생산 증가에 맞춰 물류시설도 확충한다. 전남 산지거점유통센터(FPC)를 신축하고, 나주 소비지분산물류센터(FDC)를 증축해 물류비용을 줄인다. 김 가공·연구개발(R&D)·수출의 거점이 될 수산 식품 수출단지도 2026년까지 목포에 조성한다. 이와 함께 김 거래의 투명성을 높일 ‘마른김 거래소’ 설립도 추진한다.

정부는 물량 확대에 그치지 않고 부가가치 제고를 통해 지속적인 시장 성장을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해외에서 우리식 영문 명칭인 ‘GIM’이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우리 김 제품 규격안이 글로벌 스탠다드가 될 수 있도록 국제표준화도 추진한다. 국제표준으로 인정되면 비관세 장벽이 완화돼 수출이 더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해수부는 설명했다.

‘김 등급제’도 2027년까지 도입한다. 고품질의 우리 김이 ‘제값’을 받으려면 좋은 김을 쉽게 구분할 수 있는 체계 마련이 필수적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이 밖에 종자·양식·가공·수출 업계가 모두 참여하는 ‘김 산업 협의체’를 정기적으로 운영해 김 산업 현안에 신속하게 대응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2027년까지 김 수출 10억달러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내걸었다. 지난해 김 수출액은 7억9000만달러(약 1조900억원)로 처음 1조원을 돌파한 바 있다. 내년 마른김은 올해보다 1000만속(1속은 100장) 늘어난 1억6000만속이 생산될 것으로 정부는 내다봤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이번 방안을 통해 국민들이 부담 없이 김을 소비할 수 있도록 하고, 세계 시장에서 우리 김의 위상을 확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영경 기자

y2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