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내년도 후년도 살 길이 안보인다…공공발주마저 꽁꽁" 건설수주 2년사이 7조 증발[위기의 건설업, 공급이 사라진다]
건설업 미래 경기 나타내는 수주액, 2년 사이 30% 이상 사라져
올해는 그나마 공공 발주로 방어했지만…세수펑크에 내년 미지수
예정처 “건설업 경기 2026년 돼야 저점” 앞으로 2년은 더 힘들다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우리나라 건설수주 규모가 2년 사이 30% 넘게 격감한 것으로 확인됐다. 건설수주는 앞으로 지을 건축과 토목을 총괄한다는 점에서 대표적인 건설경기 선행지표로 분류된다. 건설업 위기가 계속되는 가운데 당분간은 반등할 기미가 지표상 전혀 보이지 않는 셈이다.

당장 주요 연구기관들은 건설업이 긴 경기 한파에 시달릴 것이라고 경고하고 나섰다. 세수가 줄어든 상황에서 정부 지원도 한계가 있을 것으로 점쳐지면서, 당장 내년은 올해보다 더 여건이 악화될 전망이다. 이에 건설업 경기 저점은 2026년으로 점쳐졌다. 앞으로 2년은 더 위기가 이어진단 소리다.

‘미래가 없다’ 수주 7조 증발…내년엔 공공 발주도 사라질 듯

통계청 공사지역·공종별 건설수주액(경상) 통계에 따르면 9월 전국 건설수주액은 지난해 같은 달 대비 2.5% 증가했다. 얼핏 보면 건설수주가 회복세를 나타낸 것 같지만 실상은 기저효과에 의한 착시 성향이 강하다. 지난해 건설수주액이 유례 없을 정도로 악화하다 보니 숫자가 플러스(+)로 나왔을 뿐이다.

2년 전 같은 달과 비교해보면 실상을 알 수 있다. 올해 9월 건설수주액은 14조3554억원으로 2022년 9월(21조6480억원) 대비 33.7% 감소했다. 2년 사이 건설수주액이 7조2926억원 증발한 것이다.

이마저도 정부가 필사적으로 방어해낸 숫자다. 건설수주액을 발주자별로 분류하면 9월 공공 발주 건설수주액은 3조6274억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184.4%나 늘었다. 공공부문이 1년 사이 발주를 3배 가깝게 늘렸다.

공공부문에서 건설수주를 늘리지 않았다면 올해에도 전년동월비 건설수주액은 마이너스(-)를 기록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얘기다. 실제로 민간 건설수주액은 9월 10조2856억원으로 전년동월대비 6.4% 감소했다. 2년 전과 비교하면 42.9%가 격감했다.

앞으로는 상황이 더 암울하다. 재원적 역량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정부는 통상 건설투자가 부진하면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을 늘려 대응한다. 그런데 세수가 부족한 상황이 이어지면서 실탄 자체가 떨어졌다. 내년도 예산 12개 주요 부문 중 유일하게 SOC 예산은 3.6% 감액 편성됐다. 공공 부문이 건설수주를 떠받치고 있단 점을 감안하면 내년엔 더 큰 한파가 예정된 셈이다.

건설업 저점 2026년…적어도 2년은 더 위기

결국 올해는 물론 내년과 후년에도 건설 경기는 부진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점쳐졌다. 저점은 2026년으로 분석됐다. 우리나라 성장률에 미치는 악영향도 이에 점증할 것으로 예측됐다.

지난달 국회예산정책처가 발간한 ‘경제전망 2024~2028’ 보고서에 따르면 올 하반기 건설투자는 전년 대비 2.1% 줄어들 것으로 분석됐다. 상반기는 0.4% 늘었지만, 하반기 투자가 줄면서 연간 기준 건설 투자는 0.9% 감소할 전망이다.

부진은 내·후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측됐다. 내년 상반기에만 3.3%가 격감해 연간 감소 폭이 1.1%에 이르고 2026년에도 -0.2%를 나타낼 전망이다. 건설업은 2026년 경기 저점을 찍고 나서야 회복될 것으로 전망됐다. 반대로 말하면 앞으로 2년 동안은 살아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단 것이다.

건설 부진은 성장률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예정이다. 이번 보고서는 내년 경제성장률을 2.2%로 발표했다. 2023년 10월 발표(3.0%) 대비 0.8%포인트나 하향 조정했다. 2026년 성장률도 2.2%에 그칠 것으로 봤다.

예정처는 “내년 하반기로 가면서 2023년부터 누적된 건설수주와 건축허가면적 등 선행지표의 부진으로 건설경기 침체가 확대될 것”이라며 “선행지표의 부진으로 인해 2025~2026년 기간 중 부진한 모습을 보이다 2026년을 저점으로 회복세를 나타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2024년 중 건설기성을 제외한 건설수주, 건축허가면적, 아파트 분양물량 등이 동시에 감소하고 있어 성장은 제한적”이라며 “지방의 미분양 주택 문제 등이 2025년 상반기 중에는 해소되기 어려워 2025년 중 토목투자를 제외하면 건설투자와 건축투자는 모두 위축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th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